서강과 정일우 신부 - #3 진정으로 예수를 따른 사람 > 동문소식

본문 바로가기


HOME > 새소식 > 동문소식
동문소식
동문소식

서강과 정일우 신부 - #3 진정으로 예수를 따른 사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8-01-08 10:19 조회16,137회 댓글0건

본문

초창기 서강 학생들은 정일우 신학생을 ‘작은 데일리’, ‘꼬마 데일리’라 불렀다. 동명이인 존 P. 데일리 신부님에 비해 키가 작았기 때문이다. 그는 학생들과 무척 친하게 지내 학생 이름을 다 외웠다. 만난 순간부터 ‘재선’이라고 내 이름을 불렀고 평생 그렇게 나를 불렀다. 내가 졸업 후 1967년 군복무를 마치고 학교에 왔을 때 그는 서품을 받아 신부님이 되어 있었다.

 

1973년 11월 예수회 수련장직과 학교 교수직을 떠나 빈민이 되어 있는 신부님을 청계천 판자촌 쪽방에서 만났다. “뭐 하세요?” “그냥 살아요.” 이듬해 11월 필리핀 마닐라의 빈민 지역 톤도(Tondo)에서 일주일 간 빈민 생활을 하고 나서야 신부님을어렴풋이 이해할 수 있었다. 내가 한국천주교회의 가난한 이들을 위한 모든 활동을 총괄 협의 조정하는 일을 하고 있었기에, 신부님을 계속 만났다. 1975년엔 양평동에서, 1977년부터는 시흥군 신천리 복음자리 공동체에서, 1979년에는 한독마을에서, 그리고 1980년대 초반기에는 목동과 상계동 빈민촌 철거 현장에서, 1985년에는 목화마을에서. 상계동 빈민촌 철거 현장은 전쟁터와 같았다.

 

그분은 검은 사제복도, 수단도, 로만칼라도 입고 달지 않고 빈민처럼 운동복이나 개량한복을 입었다. 그들과 같이 먹고 술 마시고 담배 피우고 노래 부르며 즐거울 때는 덩실덩실 춤추기도 했다. 그런 그분은 당국에 ‘빨갱이’로 취급당했고 이런 오해를 피하기 위해 김수환 추기경님이 보증을 서신 문서를 지니고 계셨다. 그분은 도시빈민운동에 헌신한 공로로 1986년 도반 제정구와 함께 라몬 막사이사이상을 수상하였다.

 

20년 간의 빈민생활을 끝내고 1994년 신부님은 충북 괴산에서 농민이 되셨다. 그곳에서 농민으로 살고 있는 김의열(84 종교) 동문을 만나 정착하셨다. 10년 농민살이 끝에 2004년 칠순을 앞둔 신부님은 63일간 단식을 하셔서 의식 불명 상태에까지 이르셨다. 이후 2014년 6월 선종하실 때까지 10년 동안 병상생활을 하셨다. 

 

2009년 지인들이 신부님의 구술을 받아 자서전을 만들고, 신부님과 가까이 지낸 많은 분들의 회상을 모아 ‘정일우 이야기’라는 책을 만들었다. 다큐 영화계의 유명한 감독 김동원(74 신방) 동문이 2017년 ‘내 친구 정일우’라는 제목으로 영화를 제작하였다.

 

농부의 아들로 태어난 신부님은 수도자로 예수회원이 된 이후 신부가 되고 교수가 되었지만, 가난한 사람이 됨으로써 더 근원적이고 본질적인 삶의 여정을 시작하셨다. 그분이 염원했던 것은 진짜 사람이 되는 것이었다. 참사람, 인간다운 사람, 하느님이 만들어 놓으시고 스스로 “좋다”고 감탄하신, 하느님의 모상으로 하느님을 닮아 태어난 본래의 인간을 추구하셨던 것은 아닐까. 입으로만 복음을 사는 것을 버리고 복음을 삶으로 살아가기로 작정하고 가난한 이들에게서 희망을 보고 스스로 가난한 삶을 택한 것은 아닐까. 그 안에서 하느님 나라의 임재를 누리려 한 것은 아닐까. 이 모든 것이 하느님의 자리를 버리고 인간이 되셔서 가난한 인간으로 살아가시고, 십자가의 고통과 죽음으로 아버지 하느님의 뜻을 이루신 예수를 따르는 길이라고 신부님은 생각하셨던 것은 아닐까. 신부님의 제자로, 친구로, 그리고 가난한 이들에 대한 투신의 삶을 살아온 동지로 신부님이 그립다. 나이가 들어가는 요즈음 더욱 그렇다.

 

글 최재선(60 사학) 

 

4d4cbde27ebc88b3e839c24b29988f88_1515374448_7553.jpg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7,150건 119 페이지
동문소식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380 국립중앙박물관 2019 관람 재개, 9년째 성황 첨부파일 최고관리자 2019-05-20 16144
5379 김승업(화학 72) 김해 문화의전당 사장 '전당을 특화 문화공간으로' 관리자 2008-07-04 16142
5378 八峰 비평문학상 우찬제(81경제) 동문 첨부파일 김성중 2010-05-03 16141
5377 경남기업 대표, 건설역군 김호영(66영문)동문 첨부파일 김성중 2009-04-01 16141
5376 책으로 세상을 훔친 명사이야기 첨부파일 관리자 2006-10-30 16141
5375 이덕훈(67수학)동문 장학금 500만원 기탁 첨부파일 김성중 2009-01-30 16140
5374 편집인레터_총장님, '서강대의 몰락' 이라니요 관리자 2006-06-02 16140
5373 독보적 러시아通 박종수 동문의 활약 기대 김성중 2009-04-21 16138
5372 학보동인회장 "유지 가능한 동인회 꿈꾼다" 첨부파일 관리자 2009-01-14 16138
5371 대경 여성과기인회 추진위장 이원정(66.생명) 교수 2004-01-09 16138
5370 1661명 졸업, 2018학년도 학위수여식 첨부파일 최고관리자 2019-04-05 16138
5369 한일 젊은이들 우정, 익어만간다 ♬ - ‘서강-소피아 대학 정기전’준비 한창 첨부파일 관리자 2010-10-13 16138
열람중 서강과 정일우 신부 - #3 진정으로 예수를 따른 사람 첨부파일 최고관리자 2018-01-08 16138
5367 온라인 게임 대박신화 권혁빈(92전자)동문 첨부파일 김성중 2009-03-03 16132
5366 서강인 최고의 명예 ‘2013년도 자랑스러운 서강인 賞’ 추천 공고 관리자 2013-11-26 16132
게시물 검색

 

COPYRIGHT 2007 THE SOGANG UNIVERSITY ALUMNI ASSOCIATION ALL RIGHTS RESERVED
서강대학교총동문회 | 대표 : 김광호 | 사업자등록번호 : 105-82-61502
서강동문장학회 | 대표 : 김광호 | 고유번호 : 105-82-04118
04107 서울시 마포구 백범로 35 아루페관 400호 | 02-712-4265 | alumni@sogang.ac.kr | 개인정보보호정책 / 이용약관 / 총동문회 회칙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