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현무(72.국문) 교수의 문학을 하는 이유 > 동문소식

본문 바로가기


HOME > 새소식 > 동문소식
동문소식
동문소식

최현무(72.국문) 교수의 문학을 하는 이유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03-03-06 11:03 조회19,800회 댓글0건

본문

쾌락과 고통의 大洋에 난 오늘도 '語망'을… 2003/03/06일(한국일보) 왜 당신은 문학을 하나? 여러 가지 상황이 바뀐 지금에 와서 조금 썰렁하게 들리기도 하는 질문이다. 그런데 이런 물음도 필요 없이 문학에 대해목숨을 걸고 말하던 때가 있었다. 뭐라고 딱 부러지게 정의하지 않고도,남사스럽게 원천적 질문을 하지 않고도, 그럭저럭 나누어 가진 것이 있어서 문학에 대한 말로 직진할 수 있었던 때 말이다. 그런데 시간이 흘렀고문학의 ‘관행’이 달라졌다. 흥미로운 것은 이 질문이 내게 신선하게 느껴진다는 거다. 길거리를 넋놓고 걸어가는 내 앞에 누군가가 마이크를 들이대고 이렇게 묻는다 치자. “안녕하세요. 취재 중입니다. 당신은 왜 숨을 쉰다고 생각하세요? 그리고 당신은 어떻게 어디로 숨을 쉬는 거죠?” 왜 숨을 쉬느냐고? 아마도 조만간 인간을 숨을 더 낫게, 좀 더 진보적으로, 혹은 인간의 입이나 코를 통하지 않고 숨쉬게 하는 기상천외한 과학기술이 개발됐나 보다. 그래서 취재하나 보다라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면서최소한 한 번 정도는 호흡을 골라 숨을 한 번 쉬어보았을 것이다. 문학은 문학을 하는 대부분의 사람에게는 숨쉬기와 같을 것이다. 가벼운숨, 거친 숨, 격렬한 숨, 터질듯한 숨, 메이는 숨, 잦아드는 평안한 숨,깊은 한숨, 소리를 억누른 숨…. 매번 다르게 숨을 쉴 때마다 ‘나는 숨을쉰다’고 생각하지 않듯 문학은 대부분의 글쟁이 들에게는 그처럼 온몸,온 존재와 하나가 되어 있는, 리듬이 언어의 파도를 타는 활동이기 때문이다. 그건 확실히 심장에 직결되어 있는, 심장을 통해서 세상과 교통하는 활동인 것만은 분명하다. 그래서 그건 모든 위대한 말을 동원해 죽어 있음을강요하기를 그치지 않는 세상에서 드물게, 살아있고자 하는 인간의 기본권에 충실한 활동이다. 그건 세상에 떨어져 나오면서 누구에게랄 것 없이 우렁차게 울어대는 태아의 탄생 곡성을 어딘가 닮아 있는 ‘살아있는 활동’인 것이다. 문학 속으로 걸어 들어가 문학을 ‘하기’까지 어떤 일이 내게 일어났을까. 물론 어느 길로 걸어 들어갈 때 계기가 되는 사건들이나 그 길을 택하게 된 성향 같은 게 있게 마련이다. 내게는 기억에 남을 만큼 이것이다,강조해 말할 만한 계기는 없다. 혼자 있는 것이 싫어서 끄적거리던 감상적인 글, 좀 더 커서 세상을 관찰하면서 재미로 쓰기 시작한 일기장, 문자시대에 성장한 사람이 한두 번 참여하게 마련인 글쓰기 대회에서의 크고 작은 보상 같은 것들을 문학을 하게 된 계기로 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렇게 되기까지는 무수한 책, 사람, 사건과의 만남이 있겠지만 거기서도대표적으로 내세울 만큼 결정적인 몇 개의 사건은 없다. 그들은 모두 합창으로 존재한다. 대신 내게는 아주 어릴 적부터, 돌이키기에는 너무 멀리 가 있었던 어떤성향은 있었던 것 같다. 그것은 명명하자면 일종의 중독 성향이다. 그것은밤 새도록 하는 공기돌 놀이부터 시작해 세상의 온갖 잡사에 지독하게 빠져드는 경향이다. 만화도 음악도 그림도 있었지만 사람, 사랑, 사적 혹은 공적 사건들도 적잖이 그 중독적 몰입의 대상이 되었다.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대상을 달리하면서 나를 사로잡은 수집 취미도 이 경향과 무관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공기돌 놀이는 시작하면 손톱이 빠지도록 했고, 만화를 그리면 며칠을 굶고 그렸다. 다른 것들도 마찬가지다. 시간이 아무리 없어도 그렇게 보낼시간은 늘 생겼으니 이상하다. 지금도 대략 마찬가지다. 잘 살 시간은 없어도 글 쓸 시간은 있다. 시간이 없다는 건 핑계다. 그런 성향이 어떻게내게 생겼는가는 쉽게 짚어지지 않는 또 다른 문제다. 어떻건 아주 일찍이일, 이도의 강도의 차이가 나를 주변 사람과 구별짓는 그런 성향의 문제였던 것만은 분명하다. 문학은 말하자면 내게 그런 식으로 다가왔다. 마약중독 같이 한걸음 한걸음, 야금야금 나를 끌어 잡아당기더니, 어느 순간 물귀신처럼 내 온 존재를 몽땅 잡아먹어 버렸다. 다른 중독에서는 그럭저럭 잘도 빠져 나왔는데문학에 관해서는 상황이 다르게 진행됐다. 그렇게 문학의 바다에 빠지고 나니 홍수 뒤의 한껏 부푼 물위에서처럼,너나 할 것 없이 구차한 삶의 모든 가재도구가 그 바다 위로 떠내려 왔고, 그것들을 집어올려 살림을 차릴 수 있었으므로 구태여 빠져 나올 필요가없었던 것 같다. 중독의 기본적 생리는 무엇인가. 데일 정도로 뜨겁고 생의 상식적 경영을 내팽개칠 정도로 파국적일 수도 있지만 기본은 무엇보다도 쾌락이다. 쾌락 없는 중독이란 없다. 그래서 우선 소설 쓰는 일에 쾌락을 느껴 문학을 하느냐고 되물어도 딱히 부정할 수는 없다. 쾌락은 늘 투명한 즐거움의 색체와 고매한 의미로만 수식될 수는 없는 매우 까다롭고도 오묘한 것이라고만 대답해 두자. 한 모금만 더 빨아 들이면꼭 죽을 것 같은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물 검색

 

COPYRIGHT 2007 THE SOGANG UNIVERSITY ALUMNI ASSOCIATION ALL RIGHTS RESERVED
서강대학교총동문회 | 대표 : 김광호 | 사업자등록번호 : 105-82-61502
서강동문장학회 | 대표 : 김광호 | 고유번호 : 105-82-04118
04107 서울시 마포구 백범로 35 아루페관 400호 | 02-712-4265 | alumni@sogang.ac.kr | 개인정보보호정책 / 이용약관 / 총동문회 회칙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